종교

종교가 사악해질 때

스카이7 2023. 6. 23. 14:17
아랍어는 히브리어와 마찬가지로 자음을 뿌리로 둔 셈어에 속하며 대부분의 단어는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기본적인 개념을 내포한 세 개의 자음에서 유래한다. 예를 들어 k-t-b는 글을 쓴다는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 각각 다른 모음, 접두사, 접미사등이 덧붙으면 뜻이 다르면서도 글을 쓴다는 개념과 관련된 단어들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kataba는 ‘그가 썼다'가 되고, kitab은‘책’을 의미하며, maktabah는 ‘도서관'을 의미한다. 아랍어에서s-l-m의 기본적인 의미는 '하나님의 의지에 복종' 및 ‘평화’와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우리에게 친숙한 세 개의 단어가 유래했다.salam, Islam, Muslim이 그것이다. salam은 '평화, 안녕'을 의미하는데, 우리에게 친숙한 히브리어 단어 shalom과 어원이 같다. 이스라엘의 유대인들은 서로 인사를 나눌 때 전통적으로 shalom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아랍인들은 이와 같은 문구인 salam alaykum (당신에게 평화가 함께하기를)을 사용한다. Islam이라는 단어는 문자 그대로 '하나님에 대한 복종'과 '평화'를 의미한다. 이두 가지 개념은 하나님에 대한 복종이 평화를 가져온다는 의미로연결된다. 하나님에게 복종하는 사람들은 'Muslim'이라고 불린다. 그들은 처음부터 '평화로운' 사람들이다. 이슬람교에서 ‘평화’는 하나님의 의지를 알아 행하려는 무슬림 개개인이 누릴수있는 내적상태를 의미.
지하드는 근본적으로 미덕과 도덕을 갖추기 위한 끊임없는 투쟁, 즉 다른 사람을 대신해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좋은 일을 하려는 끊임없는 투쟁을 의미한다. 무함마드가 말했다고 전해지는 한 유명한 구절은 지하드의 군사적 의미와 비교해 이 의미를 강조한다. 무함마드는 전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무슬림들에게 자신들이 '낮은 단계의 지하드'에서 '더 위대한 지하드'를 향해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슬람을 지키기 위한 외적인 투쟁은 이슬람의 가장 커다란 과제가 아니다. 더 위대한 지하드는 사람들로 하여금 옳다고 믿는 일을 못하게 하는 이기적이고 죄스러운 욕망을 극복하기 위한 내적인 투쟁을 의미한다.
이라크침공시 미국의 기독교인들 대찬성(빌리그래함). 타국의 기독교,유태교,카톨릭은 반대. 
러시아 우 전쟁시 정교지도자의 푸틴지지와 유사.
 

하버드대에서 비교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찰스 킴볼 교수가 30년간 유태교 이슬람교 정교 지도자와의 만남에서 십자군전쟁의 기억을 어제 일처럼기억.  서방세계는 까막득히 기억에서 사라졌다.

종교가 사악해질 때  킴볼 - 절대,  순종,  이상적시대강조, 수단정당화, 성전

첫째 자기들만이 절대적인 진리를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현상
둘째, 맹목적인 복종을 요구
셋째, ‘이상적인’ 시대를 확립하려는 태도
넷째, 모든 수단을 정당화
다섯째 종교의 이름으로 전쟁을 선포

 

이런 태도를 견지하는 종교를 일반적으로 ‘근본주의 종교’라 한다. “근본주의 그룹은 실제로 살인을 하지 않고, 실제로 누군가를 치지도 않지만 그 자체로 폭력이다.” “근본주의자가 가진 정신적 구조는 신의 이름으로 행하는 폭력이다.” (프란치스코 교황)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사람이 더 쉽게 종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 예수는 사람에게 이로운 것을 가장 먼저 생각했다. (252쪽)

WWJD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 What Would Jesus Do’의 약자인 이 글자는 예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을 끊임없이 되돌아봐야 한다 (252쪽)

기독교인과 무슬림 모두 자기들 종교의 핵심이 평화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각자 거룩하다고 선포된 대의를 위해 파란만장한 싸움을 벌여온 오랜 역사가 있다. (262쪽)

서구에서 자란 대부분의 기독교인에게 십자군 운동은 그저 역사의 일부일 뿐이다. 그러나 무슬림, 유대교인, 일부 동방교회 신도, 그리고 대부분의 그리스정교 신자에게는 그렇지 않다. 그들은 십자군 운동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으며, 그것을 옛날 일로 생각하지도 않는다. (274쪽)

자기비판적인 의식, 타인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저야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요약_종교  (0) 2023.06.25
용담유사  (0) 2023.06.23
성서의 역사와 초기 기독교의 성립  (0) 2023.06.20
불교3   (0) 2019.09.07
불교2 - 대승 소승 반야  (0) 2019.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