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일본인 문화인류학 ..대 사회학과교수
27세(1945)까지 언어 16개 가능
이스베스차 지식 프라우다 진리
노걸대 규장각에서33판본 입수 분류.
용비어천가 삽입자음 6개 ㅅㄱㄷㅂㅎ- ㅅ-
삽입자음 ㅅ으로 통일할 생각이었으나 상황에 맞게 2~5쓰도록함. 나중에 ㅅ만 사용.
1443 12월 언문28자지음 양력으로 12.30~1.28. 그중간 1.15를 한글날로(북한)
1446 9월상순 →10월9일 서적 해례본 반포. 해방전1443이 학계정설이었으나 48년이후 정함.
동국정운 중국36자모중 조선어에 맞는 23성모(초성)정함. 구조언어학기반.
소쉬르 구조주의 언어학 기표(문법 형식) 기의(내용)
인도유렵어 (굴절어)文에서의 역할에 따라 변화(굴절함) 학생이student 학생의 -a 학생에게 -u (러시아어경우)
어근과 접사
교착어 학생 -의 - 에게 조사(토)로 접속.
기본단위文 語(어간 +토)音(의미 분절)의 3요소. 김수경은 개별형태소가 아니라 의미를 핵심어로 봄.
두음법칙폐기, 절음부도입, 신6자모도입
로동 녀자 음가살림. 로마 발음안되는 것아니다. 형태소 의미유지에 중점. 學理를 항니로 표시않음. 표음주의보완.
이승만 1952한글간소화파동 표음우선. 1954 대통령담화 1955철회 성경식표현법.
←→북한 형태주의 64년 한자에 대체 방법발표.
흐루쇼프(흐루시쵸프 일본식)가 스탈린비판하자 김일성비판 가능성 차단위해 주체사상강조. 스탈린 추종식(인터내셔날화)말고 주체적으로.
토의 위치
가(주격) 토 →→→→→→위치토
시(존칭) 토 →형태접미사→ 비위치토
ㅁ(명사화) 접미사 →단어접미사→ 접미사
풀어쓰기 사이표(') 띄어쓰기 필요 모아쓰기로 필요없게됨.
주시경 정약용 박지원 추앙했으나 주체사상후 사라짐.
외국어번역(외국문헌 참조) 사라짐. 고립화.
세나라시기 언어력사...(1989)고구려 백제 신라언어 크게다르지 않다. 방언적차이 있다.
조선왕조 건국초기 중국 몽골 만주 일본어학 연구 결과물 노걸대
박통사. 첩해신어(일본어) 여러 개정판 대조분석통해 한글변천 각시대 각나라의 언어변천 알게됨.
번역아니라 음역(언해)
2010 김혜영(차녀) 일본인 학자만남 2021 전기발간. 2024 한국어번역출간
김두봉(58년 비판) 리극로 쓰딸린 뿌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