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공자철학 - 계몽주의

스카이7 2023. 11. 14. 22:27
필로소프(philosophes) : 볼테르 , 미라보.등과  백과전서파(달랑베르) 등 프랑스 계몽철학자들.
공자철학과 중국사상을 열광적으로 찬미하고 수용한 프랑스의 주요 계몽철학자들( 17세기의 라모트르 등과 18세기의  '필로소프들 )'. 이에 맞선 프랑스판 위정척사파 (몽테스키외 등)의 반동적·반계몽적 몽매주의.
영국 식자들은 공자철학과 중국문화예술을 공공연하게 찬양하며 수용하기도 했지만, 거센 이교논란에 오갈이 든 적잖은 영국철학자들은 공자철학을 몰래 표절해서자기의 이론으로 둔갑시켜 독창적 이론인 양발표했다.
공자철학을 공공연하게 예찬한 솔직하고 용감한 영국철학자( 데이비드 흄등). 표절자 ( 베이컨, 밀턴, 아담스미스 등) . 흄 ( 도덕철학의많은부분에서 양해할수 있는 '불가피한 부분적 표절자). 
프랑스에 대한자철학과 극동문화의 영향도 영국에 대한 영향과 달랐다. 영국을 혁신해서 근대화한 극동의 영구적 영향은 태생적 자유·평등사상, 탈기독교적·탈희랍적.세속적 윤리도덕, 혁명권(저항권)이론, 신사이념, 내각제, 공무원임용고시와관료제 등이었던 반면, 프랑스에 대한극동의 근본적 근대화 영향은 인간사회의 인간화(종교화탈주술화·세속화), 자유시장, 농본주의(중농주의), 신분 철폐, 보편적 관용사상, 탈기독교적 인도주의, 세계주의, 예술(로코코) 등의 분야였다. 여기에 근대 독일과 스위스의 유교적 계몽주의에서 다루는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가 극동으로부터 수용한 또 다른 중국적 근대요소들(복지국가, 관료제, 필기시험, 귀족신분의 무력화와 퇴출 등)이 보태졌다. 물론세 나라가 활발한사상·문화교류속에서 중국으로부터 앞서거니 뒤서거나 받아들인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영향들은 상호 융해되어 '유럽적 근대'를 만들어냈고, 이를 바탕으로 유교제국의 ‘원형적 근대’보다 더 ‘높은근대'로 도약했다.
17-18세기 유럽의 근대화 이념의 형성과정에 대한 극동의 영향이 얼마나 강력하고 또 '본질구성적'이었는지, 그리고 그들의 열정과 동경이 극동을 향해 얼마나 뜨겁게 들끓었는지, 그리고 공자철학과극동문화에 대한 그들의 환상과 오해가 어떤 것들이었는가. 이를통해 우리가 무시하거나 깔보았던 공자철학과 유교문명이 세계적 비교 차원에서 얼마나 위대한 철학인지, 그리고 얼마나 보편타당한 문명인지를 반사적으로 깨닫게 되길.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경  (1) 2024.07.04
도서  (0) 2023.07.24
한자  (0) 2023.07.20
월든  (0) 2023.06.23
하얼빈  (0)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