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예술 24

모차르트는 혁명적 음악가인가?

1781년 6월 8일, 최초의 자유음악가 탄생하다이채훈자유 없이 살 수 없었던 모차르트, 그는 정치가도 혁명가도 아니었지만, 예술의 자유를 추구했기 때문에 기존 체제와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음악가는 귀족과 성직자의 하인이었다. 잘츠부르크 통치자인 콜로레도 대주교는 하인 모차르트의 여행을 제한했다. 대주교를 수행할 때 모차르트는 요리사 옆자리에서 식사해야 했다. 그는 오페라를 작곡하고 싶다는 열망에 불탔지만 잘츠부르크에는 오페라 극장이 없었다. 이래저래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를 떠나야만 했다.1781년 5월 9일, 뮌헨에서 를 초연하느라 예정보다 오래 자리를 비운 모차르트를 향해 콜로레도 대주교는 "막돼먹은 놈, 불한당, 개차반"이라고 욕설을 퍼부었다. 모차르트는 사직하겠다고 선언했지만, 하인이 맘대..

음악, 예술 2018.09.06

라 트라비아따 (La Traviata): 알퐁씬 쁠레씨

pomQFranc현대 프랑쓰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 보내다 » 라는 동사는 envoyer 입니다. 이 말은 en- + voie (길) + -er (1군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로 구성되어서, « 길에 놓다, 길을 떠나게 하다, 보내다 » 라는 뜻이지요. 이딸리아말로는 inviare 라고 하고, 역시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된 합성어 입니다. in- + via (길) + -are (1군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길에서 벗어난 경우, 길을 똑바로 가지 않고 돌아가는 경우에는 en- 을 dé- 로 대체하여, dévoyer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불어 단어는 도덕적인 의미로만 쓰입니다 : « 정도에서 벗어나다 ». 범죄를 저지르거나, 문란한 생활을 할 경우 쓰는 말이지요. 실제로 물리적으로 길을 돌..

음악, 예술 2018.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