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 규명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081202109931650001
지르콘 지구역사알려줌 45억년 북한산 1,5,25억년 설악산18억년
펜타닐+자일리잔
소렌슨 ph개념만듬
맥주효모
https://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2866755&CMPT_CD=MTO99
일본 연구자의 현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91800070005593
중국논문
https://zdnet.co.kr/view/?no=20220819143849
1만 년 전엔 야생동물 99.9% 인간·가축 0.1%
지금은 야생동물 3% 인간·가축 97%( 32% 인간)
개미도 사람만큼 많다. 개미는 최소한 1만 4000종. 사람은 1종
스탠퍼드대에서는 모든 과들을 통합
공대랑 경쟁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과를 아예 스쿨 단위로 만들고 있다
교수도 60명을 패키지로 뽑고 기존 교수들도 완전히 재배치
테뉴어 시스템에서도 경쟁 요소를 도입하는 곳이 조지아주·텍사스주·플로리다주
칭화대는 연 6조 원, 베이징대는 연 4조 원의 예산
대학 교육도 이론 위주에서 ‘문제해결’로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
수학교육
https://zdnet.co.kr/view/?no=20220706122950
과학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폴링과 같은 과학계의 대가들이 저지르는 여러 추문과 과오들은 너무나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제임스 왓슨은 흑인을 인종차별하는 발언으로 연구소장직에서 물러났고, 많은 유명한 과학자들이 성추행이나 인권탄압, 혹은 연구윤리 부정 등으로 경력을 마치곤 한다.
미국에서 임상실험을 통해 사실상 폐기된 비타민C 치료효과이론을 국내에 들여와 활동하는 이왕재 교수 같은 의학자의 문제 또한 폴링과 같은 선상에서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은퇴한 서울대 의대 교수인 그는 코로나19 사태에서 백신음모론을 퍼뜨리며 방역에 큰 혼선을 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