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자의 어원에 관한 책이다.
漢 나라시기에 한자가 널리 쓰이게 되고 시간이 지나자 그 뜻이 변하여 알수 없게 된 경우가 많아졌다(특히 訟事의 경우 법집행과정에서 관리의 오역으로 백성의 피해가 잦다)
이에 후한 허신이 설문해자를 지어(100년경) 어원해설을 하였다 (9천자)
허신도 갑골문 존재를 모른 채 해설하였고
商나라 망한 후( bc 11세기) 19세기말까지 3천년동안 갑골문 존재를 몰랐다
갑골문이 발견된 후 갑골문에 의한 한자 해석이 더 정확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즉 한자는 갑골문으로부터 변화되어 만들어졌고 고어에서는 갑골문이 呪文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어원을 呪術로 생각하여 설명하면 쉽게 이해된다고 주장하였다.
이 책은 그런 주장아래 여러한자를 쉽게 풀이하여 쓴 책이다
또한 본인이 생각하는 글자(쐐기문자 알파벳등 포함)에 관한 문명의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설명하였다.
몇가지만 설명하면
家 豕이 갑골문에서는 犬으로 나타난다 옮기는 과정에서 첨가된듯
개를 제사때 희생의 제물로 사용하였다.
조상을 제사지내는 사당을 뜻하며 그곳에 가족들도 거주 ->집의 뜻이 됨
口 재 기도문 넣는 그릇, 신에게 기도하는 祝器
口는 입구와 비슷하나 다르다 한자에 아주 많이 등장한다
따라서 그 뜻이 잘못 전해진 경우가 많다
幸 갑골문에서 수갑을 나타내며 (이를 벗어나는 것이) 행운
哭 개를 희생으로 장송의례 (呪具로 쓰인 신체)
道 머리를 손에 들고간다
蔑 목 눈위장식 + 伐 무녀를 없앰
賢 臣又(손모양) 시력을 잃은사람 신에세 바쳐서 봉사하는 사람- 재능있는사람 + 貝 고가 -> 어질다 뛰어나다
省 눈썹장식 강한주력으로 돌아보는것
德 척+ 省 +心 呪力을 다른곳에 미치게 하는 것 내면적 힘
白 백골이된 두개골모양
方 가로로걸친 나무에 사람을 매단모양. 경계에 놓음 外方의 뜻. 쪽, 길, 방법을 의미
士 머리를 아래로둔 도끼. 신분을 표시하는 의례용 기구로 전사,재판관,남자의 뜻으로 됨
王 큰도끼. 왕위표시. 임금 군주
辛 입묵할때 쓰는 바늘모양도구 고통상징. 괴롭다 모질다 맵다
言 辛+ 口 서약어길시 입묵형벌약속. 신에게 맹세하고 기도하는 말
妾 신에게 희생으로 바쳐진여자
罪 自(코 모양)에 辛을 가하는 형벌
罰 言에 그물을씌어 맹세를 무효로 만듦 + 刀파기 = 가책 징벌 천벌-> 형벌
法 신에대한 서약파기 강물에버림 추방
君 尹 (지팡이를 쥔모습 성직자)+재(口) 직분을 보여줌
命 삼각의례모자를쓰고 신탁받는모습. 축문기도하여 계시로 주어지는 것. 신의 말씀,명령, 분부 하늘의 令
咸 재(口)에 도끼(戌)를더해 呪能을 수호 기도하면 신레게 전달 들어줌 다 함
感 신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 마음에 느끼는 것. 생각하는 것
吉 기도가 실현되어 행복하고 경사스럽게 된다
巫 工 과 두손모양 조합
左 工을쥔모양
尋 좌우를 거듭하여 신의 소재를 찾음
隱 工으로 신을 숨김
靈 비올영+ 巫 기우의 의례 -> 신령(에 관한것) 비나 신의 강하를 구할때 재를 놓고기도
兄 (축) 재를 머리에 얹은모양 제사지내는 사람 맏형
祝 示 (祭卓)+兄 신을 섬기는 사람
召 재+人 부름에 응한신령. (신을) 부르다
招 부르는동작(+手)
詔 불린신이 랄리는 것
各 치 (발자국 거꾸로 위로부터 내려오는 것)(각자) 하늘에서 신이 내려오는 것. 이르다
客 사당묘에 내려오는 것
格 이르다
路 신내림해 도로를 정결하게함
皆 신령이 함께 내리는 것
臨 臥+ 品 신령이 아래를 굽어보는것 바라보다 굽어보다 降臨
열 八 +兄 신기내려옴을 팔자 모양으로 표시
悅 기뻐하다(說열) 내면에생기는 기쁨
樂 관계적 즐거움
知 화살+ 재 신에개 서약하는 것 분명히 알고 깨닫다
신이 허락하지 않음 否 法
재를 지킨다 古 固 吉 合 同 咸 吾
재를 버린다 舍 害
신을 다그치다 可 노래히다 歌
죽은 자의 부활과 정화 哀
右 재를 잡고 신릐 도움을 구함. 돕다. 좌 낮춤 좌천, 우 높임 座우명. 시대에 따라 역전되기도 함
工 이공계 재 문리계
在의 왼쪽 才 축기 재 (口)표시
才 축문을 통해 성화된장소-> 존재를의미 在의 본래글자
+ 聖器 士
存 인간탄생 최초의 의례
存在 인간은 신이 있으므로해서 존재
文 죽은사람의 흉부에 문신한모양. 영혼빠져 나감방지. 사자부활기원. 聖化의 종교적의미
章 입묵가할때 쓰는 침 끝에 먹물맺힌 형태
文章 :무늬와 모양 -> 정리된 사상까지
字 사당의 지붕모양+ 子 출생을 보고하는 의례. 字가 붙여지는 의례. 기르다
名 재(口)+夕,月(祭肉) 사당에 제육을 바치고 축문을올려 고함. 이름붙임
習 재속에 축문들어있는 모양 그위를 깃으로 문지르는것 -> 되풀이하는 것 반복학습
婦 묘를 정화하고 조상에 봉사하는 중요직분담당
醫 矢 + 몽둥이 수 악령을 쫓아냄+ 酉(술통모양) 주술적 환자 고치기
藥 무당이 흔드는 딸랑방울.사형수의 피를 사는사람들(능지처사)
哀 死者의 옷깃에 재를두고 기도. 사자를 슬퍼하고 招魂의례 -> 슬픔
卒 옷깃을 거듭해서 묶어낸 모양
喪 哭+ 亡
含 今+口 죽었을때 玉을입에 품게함
今 그릇에 마개뚜껑모양
者(토담) 曰에 나뭇가지를겹치고 토담만드는 모양. 점은 흙을 끼얹어 曰을 묻는다. 토담,감추다뜻
書 曰위의 부적문자. 者위의 聿더한 모양 . 주술로적힌 신성한 문자
或 무장한성읍 國의 원래글자 혹은과 구분의해 口를더해 사용.
邑 口 + 巴사람이 꿇어 업드린모양. 성안에 많은 사람이 있는 것에대한표현
氏 손잡이가 있는 작은 칼모양 씨족의 상장(이칼로 고기를 썰음) 씨족 共餐에 참가하는자
公 口(옜)위의 두개의 직선. 廟앞에서 의례와소송을 행함. 식장의 평면모양.
私 禾+ 쟁기모양. 隸農
信 신에게 맹세후 사람과 약속한 것
法 神判의 절차와 결과로써의 처벌
奢 大 + 者 者를 뛰어 넘은모양 물건이 큰곳. 선을넘는자.
侈 사람이 많이 모이는 것. 겉모습을 과장하는 자
仁 사람이 방석위에 앉는 모양 따뜻함 사랑하다 자비를 베풀다
如 축문을 외치는 무녀 모습. 신이 뜻에 맞추는 모습. 다르다, 같다
恕 무녀가 자신의 내면의 뜻을 더중시
은주혁명 : 도덕주의
念 마개뚜껑모양 심중에 깊이 생각하는
플라톤의 향연 symposium 함께 술마심
史 木에 축기붙인형태 제사. 제사하는 사람. 제사기록하는 사람. 제사기록
사기 역사기록보다 도덕관점강하다.
아씨리아 상업적왕조 설형문자 경제내용많다 메..문명 다민족 문명교차지대 표음문자발달 bc 7-6세기 아람어가 국제어
문자는 계속 늘었다 商 갑골문 5천자 후한 설문해자 9천자
6세기 梁 옥편 1.7만 明 자휘 3.3만 淸 강희자전 4.7만, 1957년부터 간자체사용. 일상생활 2천자 形 音 意
설문해자 부수540개. 법집행과정에서 관리의 오역으로 백성의 피해 막고자
역易과 음양오행바탕 왕중심 인간의 문명관. 이집트문자 상형 신관 민중로 발전
한자문명 文계승 이외의것 배제
르네상스 안일어남 시 산문중심 소설문예 안일어남 ( 서양의 그리스문학같은 )
인쇄자본주의가 문명에 큰역할함
사대부는 우민을 바란다. 표의문자의 큰장벽. 통일성유리함. 방언억제. 구어의 발달에 장벽이됨.
bc6-7세기 설형문자 표음문자로 대체 (알파벳)
商- 淸 표의문자체계 일관되게 유지. 관료주의의 형태. top down방식의 체계. 과거제 - 인재 중앙흡수 언어표준유지 했으나 지방활력없앰
사면초가 구어노래 심리전
종교개혁 라틴어의 몰락 지방어(독일어 프랑스어)의대두
한자 문자해독능력불리 수직적 임. 수평적소통에 관심적다.
------------------------------
중국의 국명 주술과 관련됨
殷은 상나라를 비하하는 글자 周에 의하여 사용됨. 주례 음란함가능
후 1 3부인 1 9빈 1 27세부 3 81어처 9일 공식적 121여인을둠
음식남녀 해결 어려운과제. 식색문제 맹자부터 성리학까지 용인
천리인욕 상하신분윤리로 理 작용 법보다 우위(宋 儒)
한자 주술적기능에서출발 설문해자 이기능이 많이 없어짐. 부수로찾는체계 보편성어렵다 문어 변화없음 표준에종속 지방다양성 저해
알퍼벳 - 민중언어 구어문어 동시변화함 새로운문학탄생
일본 - 표의문자와 음절문자(가나) 동시사용
공자 雅와 俗구분 - 주술적세계관에서 인문적세계관으로 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