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아리랑과 르완다어

스카이7 2020. 12. 21. 19:39

'아리랑역사와 한국어의 기원'(세건엔터프라이즈 출판)

 

환인(桓因)은 르완다어 hwana (match)+ inama (god)로서 불(번개)의 신의 뜻으로 불교의 수호신 제석천(Indra)을 의미

 

하나(hana; leave), 둘(tura: put), 셋(sesa; spread), 넷(nesha: triumph) 등이며, 아리랑은 ari (virgin)와 rango (seal)로서 내가 찍은 애인의 뜻이다. 봄 여름 등과 어제 오늘 등 우리말의 기초어휘는 명백하게 르완다어에서 유래하였다.

 

마고(초원), 고리(옥수수), 아리안(후빙기 처녀지 지배), 환인(제석천 인드라),수메르(동방민 이주), 조선(태양사냥꾼;수메르 동천) 등의 고대어의 뜻을 밝혀서 역사의 진실을 추적하고 설날(벽두), 한가위(큰 걱정), 오랑케(키스잘하는 사람) 

 

윷놀이의 도(기도), 개(운구), 걸(부모), 윷(거화), 모(하화)의 의미와 묵찌빠 숨바꼭질 수수께끼 하나둘셋



반야심경의 풀리지 않는 반야바라밀다의 뜻은 세소토어 panya(blink)+ bala(forget)+ mmele(body)+ tae(tie)로서 <육신의 인연을 눈을 감고 수행하여 잊자>는 전형적인 수도의 주문이다. 또한, 진언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보리사바하의 아제(gate)는 kgatello (stress), 바라(para)는 bala(forget), 승(sam)은 samente(cement), 보리(bodhi)는 bodila(sour), 사바(sva)는 saballetse(boundless), 하(ha)는 ha(while)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세 가세 피안으로>가 아닌 <고통고통 고통을 잊자, 고통을 꼭 잊자, 고달픈 세상이니까>의 뜻이다.



르완다어 만이 <아리(ari)>가 <처녀(virgin, maiden, fiancée)>를 뜻하였다.

또한, <쓰리(shuti)>가 <친구(friend)>를 뜻하였으며, <랑(ranga)>은 <공인하는 것(to publish)> <짝(match, mate)>을 의미하였다.

그렇다면, <아리랑 (ari + ranga)> <쓰리랑 (shuti + ranga)>의 의미는 명백한 것이다.

<아리랑>은 <약혼녀>이고 <쓰리랑>은 <약혼남>인 것이다.

그들은 <원시 부족사회>에서 부족장이 공인한 약혼기간 중의 남녀인 것이고, 그 수개월간의 약혼기간이 끝나면 부부가 되거나 또는 부족장이 지명한 감시인이 그들이 불륜을 저지르거나 성격이 좋지 못하면 파혼을 선언하였다.

아리랑 고개를 넘어가는 것은 족외혼이었으므로 그러한 파혼 당한 아리랑이 이웃 마을로 다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리랑 고개는 약혼 남녀의 이별을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여기서, <아라리>는 르완다어 <ara (nail, fingernail, claw) + rari (lust, desir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손톱으로 사랑 싸움을 하는 것> 즉 <아리랑과 쓰리랑이 사랑의 파국을 맞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아리랑 고개>나 <아라리가 났네>는 원시 부족시회의 약혼기간 중의 아리랑과 쓰리랑이 해피엔딩을 맺지 못하고, 서로 갈라서는 파국을 맞이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봄 (spring)은 르완다어 voma (a는 동사어미)로서 물을 대다(to fetch)는 뜻이니 봄은 나무나 동물의 암컷에 물이 오른 발정기(boom)를 의미하는 것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  (0) 2024.02.05
Varian Fry  (0) 2023.07.24
의학관련 기사모음  (0) 2019.07.07
과학 기술 기사모음  (0) 2018.10.18
유용한 사이트  (0) 2018.10.15